애드센스 상단 광고


2019.9.1. 유림보신원(염창동) / 전지적 참견 시점에도 등장한 닭도리탕 전문점, 토종닭으로 끓인 무게감있는 진한 국물의 닭도리탕 by Ryunan

매년 여름만 되면 계곡 식당 이야기가 나오면서 닭백숙 가격 논란이 벌어지곤 하는데요,
이 논란을 뒤로 하고(?) 비록 계곡으로 놀러간 건 아니지만 그와 비슷한 분위기를 갖고 있는
서울시내의 유명한 닭도리탕 + 백숙집 한 군데를 찾게 되었습니다.

. . . . . .



닭도리탕집 이름은 '유림' - N포털에 정식 등록된 이름은 '유림보신원' 입니다.
등촌동에 위치한 이 가게는 지하철역으로 접근시 9호선 증미역에서 가장 가까우며
서울 시내임에도 불구하고 서울이 아닌 듯한, 마치 산 속 계곡 옆 식당 같은 독특한 분위기를 갖고 있습니다.
식당 위치가 한강과 붙어있는 증미산 바로 밑에 있어 나름 산 속에 있는 식당... 이 될 수도 있겠네요.


오전 11시 15분, 정식으로 영업 시작하기 15분 전에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미 사람들로 북적북적.
주말이라곤 해도 이렇게 사람들이 몰려드는 걸 보니 엄청 인기있는 집인 것 같습니다.
원래 유명했지만 특히 최근에 전참시(전지적 참견 시점)로 유명세를 크게 탄 가게라고 하는군요.


복도를 따라 좌우로 테이블이 쭉 이어져있는 형태의 실내.
아무리 봐도 계곡 옆에 있는 식당 분위기인데, 이런 곳이 서울 시내에 있다는 게 좀 신기하군요.


양쪽 외벽엔 각종 유명인들의 방문 사인이 잔뜩 붙어있습니다.
연예인이 대부분이긴 하지만 정치인들의 사인도 있더군요. 가게의 인지도를 알 수 있는 나름대로의 증거.


메뉴판입니다. 계곡 옆 붙어있는 식당만큼의 가격은 아니지만 가격대가 보통 닭보다 다소 높은 편이데,
닭의 경우 큼직한 토종닭을 잡아 요리하기 때문에 다른 한 마리에 비해 양이 많은 편입니다.
가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의견이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만, 그냥 개인의 판단에 전적으로 맡기겠습니다.


5명이 방문했기 때문에 닭도리탕 한마리 반으로 주문.


테이블에 기본적으로 비치되어 있는 휴대용 가스렌지.


물수건을 비롯한 개인 앞접시 세팅.


술을 다들 많이 마시는 건 아닌지라 가볍게 반주 개념으로 두 병 정도만 나눠 마셨습니다.
아직 보급이 많이 되진 않았지만 요즘 밥집에서도 테라를 취급하는 곳이 꽤 많아졌더군요.


기본 반찬으로 나온 총각김치.


고추를 함께 넣고 조려낸 알감자 조림.


슬라이스한 양파가 함께 들어간 오이미역냉국.


부추와 함께 버무린 오이김치.


별도의 쌈채소는 없고 당근과 풋고추, 그리고 마늘쫑이 생으로 제공됩니다.
처음 나오는 반찬의 양이 적은 편인데, 직접 가져다먹을 수 있게 반찬통을 비치해놓아 큰 문제는 없습니다.


유림의 대표메뉴, 닭도리탕(1마리 반 - 68,000원) 도착.
조리가 거의 다 되어 나왔기 때문에 가스불에 올려놓고 조금만 더 끓여먹으면 됩니다.


파와 양파를 큼직하게 썰어 토막낸 닭고기 위에 얹어낸 것이 이 가게만의 특징.
닭도리탕이 원래 그렇긴 하지만 유달리 국물 색이 더 붉고 진한 느낌입니다. 전체적으로 좀 호쾌한(?) 그런 인상.
사진상으로는 전달이 잘 안 되긴 하지만, 토종닭을 사용했기 때문에 한마리반 치고 양도 꽤 많습니다.


밥은 공기밥 대신 찰밥(2,000원)을 주문해 보았는데요,
팥과 흑미 등을 넣은 찹쌀밥이 접시에 담겨 나왔습니다.


찰밥 특유의 쫀득쫀득한 식감 때문에, 개인적으로 흰쌀밥보다 이 쪽이 훨씬 더 맛있습니다.
국물에 밥을 비비는 용도로는 적당하지 않지만 닭고기는 물론 반찬과도 잘 어울리고 그냥 먹어도 좋습니다.


닭고기와 함께 푹 익힌 감자도 큼직한 덩어리로 여러 개 국물에 들어있습니다.
닭도리탕의 맵고 진한 국물을 머금은 감자를 건져먹는 것도 닭도리탕을 맛있게 즐기는 방법 중 하나.


큰 토종닭을 사용하기 때문에 닭고기는 연하고 야들야들한 식감이라기보다는
뭐랄까... 좀 묵직하면서도 쫄깃한 식감이 특징인데요, 확실히 다른 닭도리탕에 비해 질감이 단단한 편입니다.
부드럽고 연한 닭고기의 식감을 즐기고 싶은 분께는 조금 취향이 갈릴 수 있긴 하겠습니다만
씹는 맛이 확실하게 느껴지는 이 묵직한 존재감이 나쁘지 않군요.

그리고 양념이 꽤 맛있게 잘 되어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간이 좀 센 편이긴 하지만
마늘을 듬뿍 넣고 칼칼하게 끓여낸 국물은 뒤끝에 은은한 단맛이 남는데, 매우 진한 여운이 남게 되는 국물이라
얼큰한 탕 요리를 좋아하는 한국 사람들이라면 대부분 좋아할 것 같습니다. 개성 넘치는 묵직한 국물의 맛.


속에 똥집도 하나 숨어있어 이것은 제 몫으로... 쫀득쫀득하게 씹히는 식감이 좋습니다.


식사의 마무리로는 볶음밥(2,000원)

앞서 다들 많이 먹었기 때문에 두 개만 볶아서 나눠먹기로 했습니다.
남은 국물을 전부 걷어내고 아주 약간만 남긴 뒤 그 위에 밥과 부추, 김가루 등을 뿌려 비벼먹는 방식.


그러고보니 누군가 말하기를 한국인의 진정한 디저트는 바로 이 '볶음밥' 이라고 했지요.
어떤 국물요리를 먹든 고기를 구워먹든 항상 식사의 마지막은 냄비 혹은 불판에 밥 넣어서 볶아먹는 것이라고...
생각해보면 진짜 그렇습니다. 아마 조만간 마라탕이나 훠궈에도 밥 볶아먹는 게 나오지 않을까 생각중(...)


다만 밥은 개인적으로 너무 간이 강하게 되어서 - 그러니까 너무 짠 게 좀 아쉬웠습니다.
만약 여기서 밥 볶아먹는다고 할 땐 간 좀 약하게 해 달라고 따로 요청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계곡에 놀러간 듯한 분위기의 식당에서 즐기는 등촌동의 유명한 닭도리탕 전문점 '유림'
예전에 찾았던 종로3가의 유명 닭도리탕 전문점 '계림'(http://ryunan9903.egloos.com/4430457)과는 다른 스타일의
맛있는 닭도리탕이었는데요, 계림이 마늘맛이 강한 칼칼하고 달지 않은 국물이었다면 유림의 닭도리탕은
마늘맛이 계림에 비해 약하지만 매운맛이 좀 더 강하고 뒷맛이 달달한 기름지고 진한 국물이라는 것이 특징.
큼직한 토종닭을 사용해 조리했기 때문에 닭이 크고 육질이 꽤 단단했는데, 묵직한 식감과 맛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확실히 유림의 닭도리탕을 맛있게 먹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느낄 수 있었던 - 나름 의미 있는 방문이었습니다.

. . . . . .


※ 유림 찾아가는 길 : 지하철 9호선 증미역 2번출구 하차, 증미역 사거리에서 좌회전 후 가양레포츠센터 맞은편

2019. 9. 1 // by RYUNAN



덧글

  • 2019/09/02 12:49 # 삭제

    염창동까지 오셨다니~~여기는 서울 대표닭도리탕 가게중에서도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집인긋요 이유는 위생,맛 등등인것 같은데 그래도 만족 하셨다니 다행이네요!
  • Ryunan 2019/09/05 22:15 #

    맛이 엄청 강하더라고요, 다행히 간이 센 음식 좋아하는 저로서는 만족하긴 했지만요 :)
  • yudear 2019/09/05 11:48 #

    저는 여기 백숙이 더 맛있었던거 같아요! 찰밥 진짜 짱짱
  • Ryunan 2019/09/05 22:15 #

    찰밥 정말 맛있습니다, 찰밥의 매력에 빠지면 흰쌀밥은 밋밋하게 느껴지지요.
  • 露彬 2019/09/15 18:59 #

    서울 음식점인데 어째 낯이 익다 했더니 예전에 서울 본사에서 행사하고 뒷풀이로 갔던 곳이네요. 유명한 곳이었구나;;;

    맛있긴 했는데 제 입엔 매워서 많이 먹지는 못했네요. 회식이어서 가격 신경 안 썼는데 비싸긴 하군요...
※ 이 포스트는 더 이상 덧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26153
892
20827057

2016 대표이글루